연기과정

배우의 꿈! 이제 본스타 부산연기학원과 함께하세요.
나도 할 수 있다! 는 열정과 자신감만 가지고 오십시오.
본스타 부산연기학원은 언제나 열려 있습니다.

김태형 연출에게 듣는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 뮤지컬 VS 영화

미친배우님 | 2017.05.29 20:52 | 조회 119



중년 남녀의 가슴 절절한 사랑이야기로 많은 사람들의 가슴을 뛰게 만들었던 영화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가 지난 4월부터 뮤지컬로 재탄생 돼 관객들에게 선을 보이고 있다. 소설의 결을 그대로 살린 서정적인 감성과 영화 속 배경을 그대로 본 딴 듯한 무대 등은 이미 작품을 알고 있는 관객들에게도 원작을 잘 구현해냈다는 긍정적인 평을 받고 있다. 하지만 장르가 달라지면서 설정 등이 조금씩 달라진 것도 사실. 영화와 뮤지컬의 달라진 점을 분석하면서 생긴 궁금점들을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 연출가 김태형에게 물어보았다.

※ 기사에는 작품에 대한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스포일러에 민감하신 분들은 작품을 감상하신 후 기사를 읽어보실 것을 권합니다.


POINT 1. 달라진 주인공의 연령대
 



1995년 개봉했던 영화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나 현재 공연중인 뮤지컬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 모두 구체적인 주인공의 나이가 등장하진 않는다. 하지만 대사와 주인공이 처한 환경, 연기하는 배우의 실제 나이 등을 통해 어느정도 가늠할 수 있다. 1995년 당시 남녀 주인공이었던 메릴 스트립이 40대 중반,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60대 중반의 나이였던 것을 미루어 짐작건대 영화 속 주인공의 나이는 각각 40대와 60대로 추정된다. 그러나 원 캐스트로 공연하고 있는 옥주현과 박은태의 나이는 두 사람 모두 30대 후반으로 영화보다 연령대가 젊어진 것이 사실. 김태형 연출은 왜 더 젊은 배우들로 뮤지컬 무대를 꾸몄을까.
 



“가장 큰 이유는 음악 때문이에요. 무대화 하는 과정에서 노래를 잘 소화해낼 수 있는 배우를 찾다 보니 두 배우가 적격이란 생각이 들었어요. 또한 원캐스트로 집중도 있게 무대를 꾸며가는 과정에서 스타성이 있는 배우들이 필요했던 것도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었죠.

물론 배우들의 나이가 어려지면서 우려하는 분들도 있었지만, 큰 부담을 갖진 않았어요. 뮤지컬 대본에서 얘기하고자 하는 바가 영화랑은 조금 달랐 거든요. 영화에선 삶의 연륜이 느껴지는 중년의 두 주인공이 새로운 사랑을 찾게 되는 과정에 중점을 뒀다면, 뮤지컬에선 두 사람이 만나면서 겪게 되는 삶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요. 로버트는 모험을 좋아하고 언제든 떠날 수 있는 삶을 살던 사람인데 프란체스카를 만나면서 정착하는 삶을 생각하게 되고요. 프란체스카는 로버트를 통해서 무료했던 자신의 삶을 깨닫고 새로운 삶을 꿈꾸게 되잖아요. 그 관계를 통해 사랑의 서사를 풀어가기 때문에 젊은 배우들로도 충분히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POINT 2. 구성방식의 차이
 



영화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는 프란체스카의 죽음에서 이야기가 출발한다. 담당 변호사를 통해 자식들이 프란체스카의 유품을 전달 받으며, 일기장과 사진, 편지 등을 통해 숨겨둔 엄마의 이야기를 듣게 되는 액자식 구조다. 하지만 뮤지컬에선 프란체스카의 일상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보여준다. 첫 장면에서도 이탈리아 출신의 그녀가 미국 아이오와까지 오게 된 과정을 압축시켜 전달한 후 바로 일상의 삶을 살고 있는 프란체스카의 모습을 조명할 뿐이다. 김태형 연출은 제작 과정에서 영화의 액자식 구조를 활용하는 것에 대해 고민했지만, 라이선스 대본의 형태를 믿고 가보자는 생각에 지금과 같은 구조로 가게 됐다고 털어놓았다.
 
“사실 프란체스카의 죽음 이후 자녀들이 유품을 통해 엄마의 삶을 이해하는 구조가 소재를 불편하게 생각하는 관객들에게는 조금 더 편하게 볼 수 길이라고 생각은 했었죠. 하지만 굳이 두 사람의 사랑을 응원해줄 수 있는 장치를 통해 관객들에게 어떤 방향성을 제시하고 싶진 않았어요. 원작 대본을 믿고 가기로 했어요. (웃음)

공연 안에서 가장 잘 보여주고 싶었던 건 프란체스카의 선택이었거든요. 뒤늦게 찾은 사랑과 가족을 지키려는 책임감 사이에서 프란체스카는 가족을 택했죠. 그리고 끝까지 책임감 있게 삶을 살았잖아요. 단 한번의 연락도 하지 않고, 자녀를 훌륭하게 키워냈죠. 자신의 선택에 대해 구구절절 변명하거나 지나친 후회감을 보여주고 싶지 않았어요.”


POINT 3. 감정표현 방법의 차이
 



20여 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영화가 관객들의 마음 속에 남아있는 이유 중 하나는 바로 보는 이들의 가슴을 떨리게 하는 주인공들의 감정 연기 때문일 것이다. 배우들의 미묘한 표정 변화는 극의 긴장감을 더하는데, 영화에선 클로즈업을 통해 그 효과를 배가시킨다. 특히 극 후반부 프란체스카가 우연히 로버트를 발견하고 차문을 열고 그에게 다가갈지 말지 고민하는 장면을 손의 클로즈업만으로 표현한 장면은 지금까지도 압권으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뮤지컬은 대극장 무대 특성상 배우들의 표정 연기로 모든 감정을 담아내긴 한계가 있는 법. 김태형 연출은 대극장 무대에서도 섬세한 감정선을 느낄 수 있게 만드는 것이 가장 큰 과제였다고 밝혔다.
 
“시작은 배우들의 연기였어요. 소극장에서 연출할 때처럼 두 배우와 대사 하나하나 충분한 이야기를 나누며 감정을 잘 표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했죠. 특히 작품이 기존 대극장들에서 나오던 격렬하고 다이나믹한 캐릭터와는 달랐기에 충분한 시간을 써가며 섬세하게 연구하는 게 필요했거든요.

무엇보다 뮤지컬에서 감정을 가장 잘 전달할 수 있는 건 음악이죠. 작품의 음악들을 분석해서 들어보면 일반적인 뮤지컬 구조랑 많이 다르다는 걸 아실거에요. 합창도 많지 않고, 쇼적인 요소도 적은 편이에요. 오로지 두 사람의 사랑에 대한 서사와 드라마에 집중하려고 했어요. 특히 많은 분들이 인상적이라고 말씀하시는 곡 중 하나가 극중 로버트가 부르는 ‘단 한번의 순간’인데요. 이 곡이 가사를 잘 들어보면 불편한 얘기일 수도 있거든요. 남편과 함께 잠자리를 한 침실에서 유부녀에게 같이 떠나자고 하는 내용이니깐요. 하지만 화려한 반주 없이 배우의 목소리로만 담백하게 부르다 보니 감정이 더 잘 전달된 것 같아요.

영화의 클로즈업처럼 감각적인 장면을 만들기 위해 무대 연출에 신경 쓴 부분도 있었는데, 로버트가 처음 프란체스카의 집에 들어가는 장면이 그랬어요. 낯선 남자가 낯선 여자의 집에 들어가는 순간은 굉장히 설레고 관능적인 기분이잖아요. 그 감정을 강조하고 싶었어요. 처음 집으로 들어가는 순간 무대장면이 전환되며 현관문 위치가 180도로 회전되거든요. 장면의 입체감을 더하는 장면이에요.”


POINT 4. 주변 인물들의 부각
 



영화 속에서 프란체스카와 로버트, 그녀의 자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인물들은 특별출연 수준에 그친다. 아마도 영화 속에선 두 주인공과의 관계에 더욱 집중하고 싶었을 터. 하지만 뮤지컬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꽤나 다채롭다. 프란체스카의 남편은 두 주인공의 관계에 있어 더욱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이웃주민 마지와 그의 남편 역시 작품 속에서 양념같은 역할을 톡톡히 해낸다. 뿐만 아니라 영화 속에는 존재하지 않던 로버트의 전 아내 마리안과 프란체스카의 언니 키아라 역시 새롭게 만들여져 짧지만 존재감 있는 면모를 뽐낸다.
 
“뮤지컬 대본을 읽으면서 주변 인물들의 시선이 굉장히 중요하겠구나 싶었어요. 특히 타인의 시선을 신경 쓰는 모습은 우리나라 문화와 와닿는 점이 많잖아요. 그 지점을 더 강화하다 보니 주변 인물들이 더 부각된 것 같아요. 사실 프란체스카와 로버트를 바라보는 시선은 마지나 관객이나 다르지 않거든요. 욕하기도 하면서 한편으로는 응원하기도 하고. 그 복잡한 느낌을 주변 캐릭터를 통해 보여주고 싶었어요.

그러다 보니 앙상블에도 많은 신경을 썼는데요. 어떤 분들은 앙상블이 소품을 옮기는 역할만 한다고 말씀도 하시더라구요. (웃음) 하지만 저는 앙상블들이 사회 구성원들의 시선을 대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해요. 더 나아가 관객들이 바라보는 시선과 연결될 수 있게 말이죠.”
twitter facebook google+